굴착기운전기능사 자격 취득하기 - [1일차] 굴착 배우기 Obtaining the Excavator Operator Lisence in Korea [Day 1]
굴착기운전기능사 자격 취득하기 [1일차] 굴착 배우기 학원 분위기 굴착기운전기능사 자격 취득을 목표로 중장비 학원에서 첫 교육을 받았다. 1일차인 관계로 아침 일찍 (수업이 8시부터 시작하는 관계로 7시 30분 정도 도착하여 수강 등록 및 자부담금을 결제한 뒤에 카드를 태그하여 출석체크를 완료하였다. 전체 수강생은 나를 포함하여 10명이었다. 어린 친구들이 한 두세명 그리고 나머지는 40대~50대까지 다양했다. 굴착기 이해하기 굴착기의 기본적인 구조와 작동 원리에 대한 이론 교육이 있었다. 굴착기의 종류, 각 부분의 명칭과 기능, 안전 수칙 등을 학습했다. 첫날부터 바로 굴착기 탑승을 하여 실습을 진행한다고 안내 받았다. 굴착기는 주행을 위한 기존 차량 운전 핸들 외에 굴착을 위한 붐 / 암을 조절하는 레버가 추가적으로 있음을 알게 되었고, 우리가 탈 장비가 6W라는 것도 알게되었다. 참고로 굴착기의 6W 라는 명칭은 바퀴식 굴착기 (Wheel) 버킷 용량이 0.6m³ 인 것을 말하며 '공육'으로도 불린다고 한다. 필기 시험을 봤음에도 굴착기 공부는 전무한 상태였기 때문에 전부 처음보는 내용들로 가득했다. 굴착기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하부 주행체 : 궤도 또는 바퀴로 이루어져 굴착기의 이동을 담당 상부 회전체 : 운전실, 엔진, 유압 장치, 붐, 암 등이 장착되어 360도 회전하며 작업을 수행. 작업 장치 (어태치먼트) : 붐, 암, 버킷으로 구성되며, 유압 실린더를 통해 다양한 움직임을 만들어 굴착 작업을 수행함. 필요에 따라 브레이커, 크라샤, 리퍼, 집게 등 다양한 어태치먼트로 교체하여 사용. 레버의 조작 방법 본격적으로 탑승에 앞서 눈으로만 봐도 골치 아픈 레버의 사진이 눈앞에 놓여졌다. 바로 레버의 조작방식인데 굴착기의 작업부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왼손과 오른손으로 각각 레버를 붙잡고 각각의 실린더들의 행정운동을 조종하여 작동시켜야 한다. 바로 아래처럼.... 붐(Boom) 레버: 전방 ...